싱가폴정보
싱가폴에 대한 정보를 전해드립니다.
국가정보기숙사정보유학스토리
Study Abroad story
싱가폴 유학스토리에 관한 내용입니다.
-
▶싱가폴유학 - 싱가폴대학들의 랭킹, 어떤 학교를 선택해야 할까?안녕하세요 지니아빠의 싱가폴유학 이야기입니다 ^^ 오늘은 조금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는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는데요, 바로 사립싱가폴대학들의 랭킹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과연 싱가폴대학들의 랭킹은 어떨까? 어떤 학교가 좋은 학교인지, 혹은 어떤 학교가 안 좋은 학교인지에 대해서 제 개인적이고도 주관적인 입장에 입각해서 솔직한 의견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하실 것은 이것은 어디까지나 저의 주관적인 입장이므로 이런 의견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네요. 먼저 사립싱가폴대학교들은 기본적으로 싱가폴로컬대학교(국공립대학교)나 다른 나라의 대학교의 경우에는 대학의 랭킹을 계산하는 기준은 보통 학교의 재정, 학교의 연구 논문 숫자, 학교의 교수 수준, 학교의 학업 성취도 등을 기준으로 합니다. 하지만 싱가폴대학의 경우 사립대학은 그런 기준이 전혀 맞지 않는 시스템입니다. 그래서 세계랭킹과는 전혀 상관이 없으며 단지 파트너 대학들의 본교의 랭킹을 가끔씩 이야기 하기도 합니다. 또한 싱가폴 자체에서 Asia One 이나 기타 취업포털 사이트에서 선호도 조사를 합니다. 이런 조사는 랭킹이라기 보다는 인지도 기준으로 설문조사를 해서 매겨지는 순위이기 때문에 대학의 순위와 상관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자 그럼 지니아빠가 생각하는 싱가폴 사립대학교 순위는 어떨까요? 일단 그냥 대략 순위별로 놓고 보면 1 순위 그룹 SIM, LASALLE, NAFA 2 순위 그룹 JCU, Kaplan, PSB, MIDS, EASB, Raffles 3 순위 그룹 TMC, 다이멘션, 인포메틱스 ERC 오스턴 등 이정도라고 생각합니다. 그냥 일등부터 죽 매긴 순위는 아닌데, 사실 저 그룹 안에서의 우열은 가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전공에 따라서도 조금 다른데요, 예를 들어서 호텔 경영학과의 경우에, 2그룹 안에서 SIM이나 카플란의 경우 별로 관심을 많이 가지는 학과가 아니기 때문에 오히려 다른 학교들이 더 좋다고 볼 수 있고요, 공대는 PSB나 MDIS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1순위에 라살이나 나파를 넣은 이유는 학교의 규모도 규모이지만 디플로마과정은 국가의 지원을 받는 준공립형태의 대학교들이라서 실제적으로보면 오히려 SIM보다 수준이 높은 대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전공이 예술 계열로 한정이 된다는 약점이 있죠. 제가 그룹의 순위를 매긴 것은 학교의 규모나 현지에서의 인지도와 전체적인 분위기등을 고려해서 매긴 순위입니다. EASB같은 경우는 한국에서는 인지도가 별로 없지만 현지에서는 높은 인지도를 가진 학교이고요, 3 순위 외에서는 제가 뭐라고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다만, 그 외의 학교들은 특별히 장점이 없는한 높은 순위의 학교를 갈 수 있다면 일부러 택할 필요는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다시 말씀드리자면 저 위의 싱가폴대학 순위가 절대적으로 싱가폴유학에서 고려해야할 순위는 아니며, 수준이 높은 대학에서 졸업을 못하는 것 보다 자신의 능력에 맞는 학교에서 좋은 성적으로 졸업을 잘 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실제적으로 싱가폴유학을 마치고 취업을 할 때는 학교의 네임벨류 보다는 성적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 그럼, 대략 지니아빠가 생각하는 싱가폴대학들의 랭킹을 봤는데요, 같은 순위에서는 학업기간과 그 학교가 가진 특장점, 학비 수준 등을 고려해서 결정을 하시는 것이 좋으며, 학교의 순위보다는 본인이 선택하는 전공이 자신에게 맞는 것인가가 더 중요한 싱가폴유학의 성공요소라고 자신있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 자 그럼, 싱가폴유학의 선택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관리자2019.01.17
-
▶싱가폴유학 - 싱가폴대학으로 편입 진학하기외국대학편입 중에서 싱가폴 사립 편입으로 싱가폴유학에 관한 정보! 한국에서 대학교 2학년 정도를 다니다가 혹은 전문대학을 다니다가 싱가폴로 유학을가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최근에 우리나라 대학에서 편입으로 뽑는 인원이 줄어들면서 이런 수요가 점점 많아지고 있는데요, 과연 이런 경우 어떻게 하면 외국 대학교 중에서 싱가폴 사립대학으로 편입을해서 싱가폴유학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싱가폴의 사립대학은 주로 영국의 대학들과 파트너쉽이되어 있으며 학위는 바로 이런 영국대학교에서 나오게 됩니다. 영국은 교육시스템상으로 고등학교 마지막 학년에서 대학이 갈 전공을 미리 정하고 그 전공에 대한 기본적인 수학이나 전공기초를 배우게 됩니다 그래서 대학을 진학하게되면 미국이나 우리나라의 교육 시스템과는 다르게 교양과정을 거의 배우지 않고 전공의 과목들만 대부분 공부를하게 됩니다. 그래서 대학의 과정은 대부분 3년이고 엔지니어링이나 건축과 등은 기간이 더 길게됩니다. 싱가폴의 사립대학의 경우는 이 3년의 과정을 1학년은 디플로마 Diploma 2학년은 어드반스(혹은 하이어) 디플로마 Advance Diploma 그리고 마지막학년인 3학년은 디그리 Degree 라고 부릅니다. 물론 학교에 따라서는 이 세 개의 학년을 두개로 묶기도하고 아니면 통채로 하나로 만들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대학을 2학년 혹은 전문대학을 마쳤을 경우는 과연 싱가폴 대학에서는 어떻게 받아줄까요? 일단 기본적으로는 학교마다 다릅니다. 싱가폴의 사립대학의 경우에는 학교의 독립성이 강하기 때문에 그 제도 안에서 케이스 바이 케이스로 운영됩니다. 그래서 한국에서 동일 전공을 마쳤을 경우 싱가폴에서 마지막 디그리과정으로 들어가서 1년만에 졸업하기도 하고 학교에 따라서는 1년 반의 기간을 거치기도 합니다. 싱가폴유학으로 편입을 생각한다면 일단 본인의 전공이 무엇인지 체크해보고 본인의 전공과 동일한 전공을 택할 것인지도 확실히 해야합니다. 그 후에 싱가폴의 대학중에서 본인이 유학하길 원하는 대학을 택하면 원하는 유학의 기간을 정확히 체크해 볼 수 있습니다. 한국의 대학 편입이 최근에 많이 힘들어지고 자리가 줄어들어서 현재보다 더 좋은 취업의 기회를 원할 경우 이렇게 싱가폴유학으로 편입을 생각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 중에 하나가 되리라 생각합니다.관리자2019.01.17
-
▶싱가폴대학교 - 국공립대학교로의 유학에 관하여.안녕하세요. 오늘은 싱가폴유학 중에서 국립대학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흔히들 싱가폴 국립대라 함은 NUS를 떠올리시는 분들이 많은데, 정확하게는 아래와 같이 나누어 집니다. 위와 같이 6개가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SIT와 YALE-NUS은 약간 다른 방식의 학교 입니다. 그래서 이 학교들은 다른 날에 따로 언급을 할까 합니다.) 자. 이제 싱가폴유학 준에서 국립대에 관하여 알아볼까요? NUS (NATIONAL UNIVERSITY SINGAPORE) --길게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설립연도, 세계대학 순위, 명성도 등등 이런 내용은 여러분들도 많이 접하리라 믿고, 저는 조금 다른 시각으로 설명하려 합니다. 우선은 아래의 표를 보십시오. 자 위의 표는 싱가폴 JC을 졸업을 한 학생들의 입학 결과 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A-Level은 싱가폴 A-Level입니다. (A-Level 종류가 여러 가지 있습니다.) 궁금하시죠? AAA/B AAA/A 가 뭔 소리여 ? 싱가폴 A-Level은 대개는 6과목을 공부를 합니다. 그 6 과목 중에서 H2 (higher – 심화과정), H1(normal-일반과정)으로 나누어 집니다. 예를 들어서 수학에서의 H2와 H1은 상당히 다름이다. 물론, H2가 무지 어렵습니다. 즉, 위의 표에서는 AAA/B에서 앞의 AAA는 H2(심화과정) B는 H1(일반과정)의 과목에서 본인이 선택하여 제출하는 것입니다. (H2는 모두 제출해야겠죠.) 그리고, 전공 옆에 *가 있는 곳이 있습니다. 그 전공에서는 인터뷰나 전공시험을 치른다는 얘기입니다. 일반적으로 의학계열, 법학전공은 인터뷰를 진행을 하고 나머지 디자인 계열은 실기시험을 치르는 것입니다. 대개 싱가폴 내에서 정설은 의학계열,법학전공은 싱가폴리언 위주로 선발을 합니다. JC을 졸업한 외국인들인 경우에 아무리 공부를 잘해도 입학하는 경우는 드문 편입니다. 그럼, 여기서 잠깐. 그렇다면 싱가폴에서 공부를 하지 않는 학생들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 , 제 점수로 어디를 갈 수 있을까요 ? .. 저가 말씀 드리고 싶은 것은 혹시 싱가폴유학생으로 NUS을 지원 시에는 점수가 높은 TOP SCHOOL(전공) 보다는 중위권을 노리는 것이 상당히 유리합니다. 왜냐하면, 그 외국인 유학생에는 중국유학생들이 포함되어서 어마어마한 스팩(SAT 1 -2400, SAT 2 – 만점)을 가진 학생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쫄지 마십시오. 중국인들은 중국인일 뿐 입니다. 요즘 흘러나오는 분위기는 외국학생들 중에서 중국인들은 중국인들 끼리 경쟁을 시킨다고 합니다. (엄밀히 말해서 쿼터제는 아니라고 합니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아직까지 한국학생들은 몰리지 않고 있으니 지원해 볼만한 학교입니다. (그래도 기본 스팩은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중학교 영어 성적도 제출해야 하거든요.) NTU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NTU는 싱가폴 서쪽에 위치하며.. 이런 얘기들은 중요하지 않다고 봅니다. 이 학교에 가서 본 학교 분위기도 중요하지 않습니다. 결국에는 싱가폴 현지 내에서의 평판이겠죠. 즉, 평판은 취업과 연봉에 연결되는 부분입니다. 개인적인 의견 (13년 싱가폴 경력)으로는 ACCOUNTANCY 와 몇몇 공대 계열은 싱가폴 TOP이라 보시면 됩니다. 물론 NUS가 TOP이지만 그들 못지 않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그리고, 몇 해 전에 의대가 생겼는데, 역시 TOP이죠. 나머지 과는 빅3 (NUS,NTU,SMU)에서 좀 처지는 편 입니다. 아래의 표를 보십시오. 위에 NI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은 싱가폴 교육대학 입니다. 지원하기 마십시오. SMU( Singapore Management University) --빅3 중에서는 설립연도가 가장 최근 입니다. 뭐, 여기서도 긴 얘기는 하지 않겠습니다. 즉, 요즘 싱가폴 학생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학교 입니다. (물론, NUS TOP SCHOOL에 가는 학생들을 제외하고요.) 점수가 NUS와 비슷하면 오히려 SMU을 지원하리라 하는 학생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교육의 질이 상당히 높아서 학생들이 만족을 한다고 합니다. (외국으로의 교환학생 비율도 상당히 높아서 선호하는 편 입니다.) 초기에 포항공대를 떠 올리시면 좋을 듯 합니다. 확실히 NTU보다는 평판이 좋은 것 같습니다. 외국인 학생 비율도 높은 편이고, 외국에서 공부(한국 포함)한 학생들은 한번 노릴 만한 학교입니다. 강력 추천. SUTD (Singapore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Design) --이 학교는 빅3가 점하고 있는 싱가폴 국립대 자리에 4번째로 생긴 대학교 입니다. 이름에 알 수 있듯이 기술과 디자인을 접목해서 크게 봐서는 산업디자인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대학입니다. 여기까지가 상식적인 얘기 입니다. 아직까지는 졸업생이 없으니 평판이라고 말을 할 수는 없겠죠. 하지만, 저 기억에 SMU가 생각이 됩니다. 10년 전까지만 봐도 SMU는 지금과 같은 명성을 얻지 못 했습니다. 그저 시내에 대학은 왜 만들었대, NUS에 있는 전공들이 여기 또 있어 ?? 그런 평판에서 10년 만에 아주 우수한 평판으로 올라 섰습니다. 즉, 디자인 부분에 있어서는 10년 후에 남부럽지 않는 평판을 받으리라 확신합니다. (왜 ?? 싱가폴 정부에서 괜히 만들어겠나요. 정부에서 한다면 하는 나라고 그 결과도 나오는 나라입니다.) 저 생각에는 디자인 계열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이 학교에 도전해 보는 것이 어떨까요 ?? 이 학교는 아직 성적 가이드라인은 발표를 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방식은 동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H2 (3과목) , H1(1과목)을 제출하면 됩니다. 그리고, 이 학교는 YALE-NUS와 동일하게 미국 COLLEGE BOARD에서도 지원 가능합니다. 싱가폴 대학 정리 NUS NTU SMU SUTD 입학시기 18/AUG 18/AUG 18/AUG MAY 전형시기 10/14 TO2/21(외국인전형) TO 4/1 (A-LEVEL) 1/15 TO 4/1 10/22 TO 4/1 1/5 TO 3/23 3/17(IB) 4/1 (A) 인터뷰/실기시험 4월 중순 4월 중순 4월 TO 6월 입학결과 5월 to 7월 5월 to 7월 5월 to 7월 5월 to 7월 입학요건 고교내신 필요 중학교 영어성적필요 SAT 1 – R(600),W(600),M(650) SAT2 – 3과목 (수학필수) 고교내신 필요 SAT 1, 입학시험(영,수 선택) 고교내신 필요 SAT1 -1900 (R&W 1400) 고교내신 필요 SAT1 -1900 영어자격시험 TOFEL – 79 OR IELTS – 6.5 요구하지 않음 TOFEL-79 OR IELTS-6.5 요구하지 않음 연간학비(장학금포함) 인문, 공학계열 -$15,300 경영계열 - $17,900 법학계열 - $21,600 인문, 사회계열 -$15,300 경영, 공학계열-$17,200 경영계열-$21,800 법학계열 -$24,100 공학, 디자인 계열 - $20,150 --우선은 한국에서 궁금한 점은 우리 얘가 싱가폴유학으로 국립대학을 갈 수 있나요? 라는 문제입니다. 제 생각에는 외고나 자사고 유학 반에서 공부를 한 학생들(아니면 개인적으로 미국 유학을 위해서 준비한 학생)은 미국과 동시에 싱가폴도 함께 노려 보시는 편이 좋을 듯 합니다. 기존에 준비하신 스팩이면, 따로 싱가폴을 위해서 준비할 필요는 없습니다. 기존의 SAT성적과 토플 성적으로 지원이 가능합니다. 저가 자신 있게 말씀 드리고 싶은 부분은 앞으로의 10년이 더 기대되는 나라가 싱가폴이고, 그 곳의 국립대학 입니다.관리자2019.01.17
-
▶싱가폴유학 - 싱가폴 대학의 종류와 나에게 맞는 학교의 선택.싱가폴대학으로 유학을 희망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싱가폴의 대학교에 관해서 조금 분류를 해보았습니다. 먼저 싱가폴로컬대학교가 있습니다. 싱가폴로컬대학교는 싱가폴국립대학교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난양대학교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싱가폴경영대학교 Singapore Management University, 싱가폴 기술디자인대학 Singapore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Design 이렇게 네 학교가 있습니다. 이 학교들은 학교 자체에서 학위를 수여하며, 세계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학교입니다. 물론 아직까지는 SUTD의 경우 신생 학교이지만, 앞으로 막강한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서 금새 인지도가 올라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 학교들은 입학 시 대게 SAT나 IB혹은 A레벨 등의 점수를 요구하고 있으며 외국인에 대한 쿼터가 따로 정해져 있습니다. 다만 외국인이라도 싱가폴의 JC에서 졸업한 학생의 경우 싱가폴학생의 쿼터로 적용을 받습니다. 학교들의 수준은 전세계적으로 인정을 받는 학교들이며 특히 NUS의 경우 전세계 순위에서 항상 20위 권 정도의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으며, 아시아에서는 항상 동경대학과 1,2위를 다투는 대학교입니다. 또한 싱가폴 경영대학교나 난양대학교의 경우도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네군데의 국립대학교들은 외국인 이라도 정부장학금 신청이 가능하며, 정부 장학금을 적용 받은 경우 일년 학비가 2000~2500만원 수준으로 굉장히 저렴합니다. 물론 정부 장학금을 지원 받은 경우는 졸업 후 3년간 싱가폴에서 일을 해야합니다. (이 경우 월급은 그냥 본인이 가져갑니다.) 입학의 조건이 힘들기 때문에 사실 상 한국에서 공부한 학생드이 NUS를 입학하는 경우는 정말 거의 없습니다. 간간히 싱가폴 경영대학교나 난양대의 경우 SAT점수가 좋으면 입학이 되기도 하는데 많은 숫자는 아닙니다. 두번째로 싱가폴 사립대학교에 관해서 말씀을 드리자면, 보통 싱가폴유학이라고 하면 사립대학교유학을 말하는 것인데, 먼저 싱가폴 사립대학교는 싱가폴 사립대학교 자체가 학위를 주는 것은 아닙니다. 자체의 학위를 수여하는 학교는 위의 로컬대학교들 밖에 없으며 학교의 이름도 로컬대학교만 University라는 이름을 사용합니다. 사립대학교들은 주로 Academy나 Institute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으며 학위는 영국이나 호주 등의 외국 대학교들과 파트너쉽을 맺어서 외국의 학위와 졸업장을 받게 됩니다. 조금 웃기는 경우이긴 한데, 싱가폴에 들어와 있는 James Cook University분교의 경우 실제적으로 호주의 대학교이며 싱가폴의 경우 정식 분교임에도 불구하고 싱가폴에서의 법인 명칭은 JCU Institute라고 이름을 등록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사립대학교들은 좁은 싱가폴 국토의 특성상 캠퍼스가 아주 작거나 어떤 경우에는 빌딩의 한개 층을 빌려서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런 사립학교들은 학업 기간이 짧으면 2년에서 길면 4년까지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은 2년 반에서 3년 정도입니다. 학비는 입학부터 졸업까지가 2500~4500만원 정도이며 대게는 3500만원 전후입니다. 이런 싱가폴 사립대학교에 유학을 오려고 하면 택할 수 있는 전공이 한계가 있습니다. 대부분 전공은 경영학과, 경영관련학과(마케팅, 회계, 물류, 국제경영 등), 호텔경영학과, 방송홍보학과, 심리학과, IT계열학과 등이 있습니다. 싱가폴유학의 전공은 다양하지 않으며 대신 취업에 쉬운 전공들이 몰려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나라에서 졸업을 한 학생의 경우 일단 로컬대학교는 거의 힘듭니다. 따로 SAT를 준비하는 과정을 거쳐서 충분히 높은 SAT나 A레벨 점수를 따지 않는한 거의 힘들고 대부분 사립대학교로 갑니다. 사립대학교의 경우도 본인이 꼭 엔지니어링이나 인문학을 원한다면 싱가폴의 사립대학교는 맞지 않을 수도 있으니 무작정 싱가폴유학을 선택할 것이 아니라 본인의 전공과 앞으로의 진로를 잘 생각해보고 학교를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관리자2019.01.17
-
▶싱가폴유학의 단점은 무엇이 있을까요?안녕하세요. 해연유학원 원장, 지니아빠 입니다. 오늘은 싱가폴유학의 단점에 대해서 한번 알아볼까 합니다. 사실 싱가폴유학을 보내면서, 싱가폴유학의 장점을 많이 이야기 하기도 하지만, 학생들에게 가능한 대로 싱가폴유학의 단점들에 대해서도 꼭 말은 해주고 있습니다. 싱가폴유학의 장점과 단점을 비교해보고 스스로에게 이게 가장 좋은 길인가 자문해보시고 유학을 갈 것인지 선택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싱가폴유학의 첫번째 단점은, 싱가폴의 사립대학교들이 본교가 아니라는 겁니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분교라는 개념보다는 파트너쉽(Partnership)이라는 개념이 정확한데요, 실제 교육과정은 싱가폴의 사립교육기관이 시키면서 학위는 영국이나 호주 등의 대학교에서 주는 형태입니다. 그래서 정확하게는 분교는 아니며, 오히려 졸업장은 본교와 동일하게 나옵니다. 사실 이런 개념은 싱가폴을 비롯한 동남아의 국가들에서부터 시작해서 점차 다른 나라의 교육기관으로도 퍼져가고 있는 상태입니다. 교육자체는 싱가폴의 교육기관이 시키며 특별히 1학년 과정인 디플로마 혹은 어드반스디플로마까지는 싱가폴 교육기관에서 학위를 수여하지만 최종학위인 디그리(Bachelor)학위는 본교에서 수여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학교의 규모도 작고 교수도 본교교수가 아닌 싱가폴의 자체적으로 고용한 교수가 많습니다. 물론 학교에 따라서는 본교의 교수를 일부 파견해서 교육을 시키는 곳도 있습니다. 두번째 싱가폴유학의 단점이라고 한다면 위의 상황과 맞물려 있는데 싱가폴이 영어 모국어국가가 아니기 때문에 싱가폴의 영어는 싱글리쉬라는 점입니다. 그래서 가끔은 교수님의 영어발음 조차 생각보다 이상해서 당황을 많이 하게 됩니다. 이것은 내가 불만을 가진다고 바뀌어 지는 것은 아닙니다. 그냥 그 상황에 적응하고 그영어에 적응을 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아울러 대부분의 한국 학생은 이런 환경에서도 거의 미국식의 영어발음을 항상 고수합니다. ^^;; 아무래도 뿌리 깊은 미국식 영어의 영향이겠죠. 예를 들어서 Water를 발음하면 한국 학생은 거의가 '워러'라고 발음합니다. 그런데 미국이나 캐나다 정도를 빼고는 전부 '워터'라고 발음하죠. 어느 것이 맞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두 발음 다 알아듣느냐가 중요하며 실상 미국에서나 영국에서나 그냥 그러려니 하고 그 발음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싱가폴식 싱글리시는 주로 La 혹은 Ya 를 영어 뒤에 붙이기도 하고 중국식의 성조가 강한 억양이 베여나오기도 한다는 겁니다. 이런 발음을 너무 싫어 한다면 결국 미국이나 캐나다를 가시는 수 밖에 없고요. 사실 호주나 영국을 가도 한국인들은 초반에는 발음을 잘 못 알아듣습니다 ^^;; 싱가폴에서 졸업하면 기본적으로 대부분 싱가폴 취업을 노립니다. 혹은 싱가폴 인근의 동남아에 새로운 기회들이 생각보다 많이 있습니다. 이런 때 오히려 미국이나 영국 발음 보다는 다양한 억양에 익숙하게 공부한 싱가폴유학생이 미국유학생들 보다 유리한 고지에 있는 겁니다. 간간히 미국 명문대학생을 제치고 싱가폴에서 근무해야하는 글로벌 기업에 싱가폴유학생들이 취업되는 케이스가 있답니다. 세번째 단점이라고 하면 부동산 값이 너무 비싸다는 겁니다. 유학생으로 생활을 하는데는 사실 미국이나 호주나 영국이나 싱가폴이나 전체적으로 들어가는 생활비는 아주 큰 차이는 없습니다. 그중에서 일상의 물가는 싱가폴이 다른 나라보다 조금 저렴합니다. 대신 부동산 값이 비싸기 때문에 월 50만원 가량의 기숙사 4인실의 경우 생각보다 환경이 그리 좋지는 않습니다 . 물론 적응 나름이긴 합니다. 이런 상황에 대해서 스스로 잘 적응 한다면 문제는 없지만 이런 상황 자체를 이해를 하고 출발을 하셔야합니다. 선진국이라서 마냥 좋은 것은 아닙니다. 항상 좋은 곳에는 그만큼 많은 돈이 들어가게 되는 겁니다. 자, 이정도가 제가 생각하는 단점들입니다. 물론 다른 사소한 싱가폴유학의 단점들도 있겠지만 항상 장점과 단점들을 잘 파악하고 선택을 해야 후회가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관리자2019.01.17
-
▶싱가폴유학비용 비교 / 싱가폴사립대학 케이스안녕하세요 유학원 원장, 지니아빠입니다. 오늘은 싱가폴유학비용에 대해서 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싱가폴유학의 장점중에 하나가 비용이 저렴하다는 것인데요, 과연 얼마나 들어가는지 한번 살펴보도록하죠. 싱가폴유학비용을 계산한 기준은 싱가폴사립대학교 중에서 중간정도 학비(약 3500만원)을 잡았으며 기간은 2년 반을 잡았습니다. 또한 환율은 최근 환율인 850원 정도로 계산했습니다. 학비: 3500만원(입학부터 졸업까지 총 학비) * 저렴한 학교는 2500만원에서 좀 비싼 학교는 4500만원까지 입니다. 대부분 3500만원 안팎의 학비입니다. 생활비: 월 120만원(먹고, 자고, 차비와 용돈을 포함) 월120만원 * 36개월 = 4320만원 * 지금 현지에 가있는 학생들에게 물어봐서 평균치를 잡은 금액입니다. 물론 개인차가 큰 부분입니다. * 숙소에 따라서 생활비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콘도에서 1인실에서 지내는 경우 생활비가 많이 뜁니다. * 싱가폴은 술담배가 비싸기 때문에 이런 부분도 예산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총 7820만원 정도가 들어가네요, 여기에 별도로 항공료 등이 필요합니다. 이 비용을 우리나라에서 대학을 다니는 경우를 고려해보면 국내 대학비용 4년 * 1000만원 = 4000만원 생활비, 학원비 등 월 70만원 = 3360만원 합계를 하변 7360만원 입니다. 물론 한국에서도 나름 생각지 못한 비용은 들고, 장학금을 탄다든지 국립대학교를 가는 경우는 좀 다른 결과가 나오겠지만 대략적인 비교는 되리라 생각합니다. 이렇게 싱가폴유학비용을 계산해 놓은 것은 우리나라에서 자신의 적성에 맞지 않는 전공이나 인지도가 지나치게 낮은 대학을 가기 보다 싱가폴유학을 생각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수 있다는 생각에서 입니다. ^^관리자2019.01.17
-
▶싱가폴유학 - 필리핀고등학교 졸업 후 싱가폴대학유학을 추천하는 이유안녕하세요 지니아빠입니다. 오늘은 싱가폴대학유학에 관한 포스팅을 좀 해보려고 합니다 ^^ 아래 네임카드에도 적어놓은 것 처럼, 유학에 관한 제 생각을 조금씩 써보려 합니다. 그중에서 오늘은 필리핀에서 고등학교를 마친, 혹은 어학연수를 한 학생들에게 잘 맞는 싱가폴유학이라는 주제로 포스팅을 해보고자 합니다. (아래의 사진들은 싱가폴 제임스쿡 대학의 사진들입니다) 제가 일하는 해연유학원은 1991년에 설립되었는데, 사실 필리핀 현지 어학원의 한국 사무소로서 오픈을 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다른 국가의 유학업무도 진행했는데요, 사실 그 때만해도 필리핀으로 어학연수나 유학을 가는 사람이 전혀 없었습니다. 사실 우리나라에서 맨처음 필리핀어학연수를 시작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좀 오래된 유학원들은 잘 알고 계세요 ^^ 그러면서 필리핀영어캠프와 조기유학을 시작하면서 필리핀에 대해서 아주 잘 알게 되었습니다. 시간이 오래 지나다 보니 학생들이 필리핀의 고등학교를 마치고 일부는 필리핀의 대학으로 일부는 한국으로 또 다른 학생들은 미국이나 다른 선진국으로 진학을 하게 되었는데요, 여기서 몇가지 고민이 생겼습니다. 먼저 학생들에게 필리핀의 대학교로 진학을 권하지 않은 이유를 살펴보면 먼저 필리핀이라는 국가의 디스카운트가 만만치 않게 크다는 겁니다. 필리핀의 대학교들의 전세계 랭킹을 살펴보면 필리핀이 한참 잘나갈 시기에, 사실 필리핀은 우리나라보다 훨씬 선진국이었고 한국으로 파병을 한 혈맹이었죠 하지만 그런 시기에 필리핀의 여러가지 좋지 않은 일들로 더 이상 발전을 못하고 제자리 걸음을하는 대한민국은 계속 성장을 해서 필리핀을 추월하여 지금의 상황에 이르게 된 것입니다. 필리핀의 대학교들은 필리핀 정부의 악화와 더불어 재정이 문제를 가지게 되고 그건 결국 필리핀대학교들의 질적 저하로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필리핀의 재정이 좋을때는 전세계 50위권에 들어가기도 했던 필리핀 대학교들은 이제는 가끔 잘 찾으면 400위 안쪽에 간신히 들어가거나 혹은 400위 안에서도 찾기 힘든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항상 세계 100위안에 들지 못하던 한국 대학교들은 최근에는 최대 40위 권에 이름을 당당히 올려 놓기도 하고 있습니다. 이 세계대학교랭킹이라는 것은 순위를 측정하는 기관의 기준에 따라서 상당히 뒤바뀌기도 하기 때문에 절대적이지는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몇 신뢰도 있는 언론사들의 조사를 보통 기준으로 삼고 있죠. 아무리 좋은 필리핀 대학교를 졸업하더라도 한국으로 돌아와서 인정을 받기 힘든 필리핀 디스카운트와 필리핀 대학교의 낮은 랭킹은 몇몇 수준이 높은 대학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점점 지원하는 숫자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 대안으로 보통 필리핀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의 대학교를 진학하거나 재정적인 여유가 있다면 미국이나 캐나다로 진학을 하고 있고 그 외에 싱가폴로 유학을 가는 케이스가 급격하게 늘고 있습니다. 싱가폴 대학교로 진학을 할 경우 비용적인 측면에서 필리핀에서 유학을 하거나 한국에서 대학을 다는 것에 비하면 아주 큰 부담이 없는데다가 유학의 기간이 짧고 대학교의 명성 또한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물론 싱가폴의 안전함과 현지 취업의 가능성도 큰 장점 중에 하나입니다. 선진국인 미국이나 캐나다, 호주 등의 경우 일년의 유학 경비가 적게는 3천만원에서 많게는 6천만원을 훌쩍 넘어가는 경우가 많아서 실제 필리핀에서 고등학교를 마친 학생이 가기는 경제적인 부담이 만만치 않습니다. 그래서 일부 학생은 미국의 커뮤니티컬리지를 통해서 진학을 하기도 합니다. 이런 이유로 싱가폴유학은 실용적인 측면에서 필리핀의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에게 큰 메리트가 있다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자 이제 기존의 싱가폴유학에 대한 관점을 접어두고, 싱가폴유학을 매일 생각하는 제 개인적인 의견을 하나 더 추가해보겠습니다. 이제는 아시아의 시대입니다. 미국이 물론 아직까지 세계 최대 강대국이고 앞으로도 변할 가능성은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중국과 대만 동남아 국가들의 급격한 성장은 앞으로 단순하게 영어만 잘해서는 경쟁력을 확보하기 힘들게 될 것입니다. 동남아의 중심국가인 싱가폴은 수많은 외국인들과 다국적기업들이 들어서 있고 많은 중국과 동남아의 인재들이 유학을 오는 국가 입니다. 비지니스는 결국 인맥이고 문화입니다. 다양한 학생들과 만나고 그들의 문화를 접하고 그 속에서 창조적인 비지니스는 무엇인지 찾아야 합니다. 싱가폴과 밀접한 중국에 대해서도 알아하며,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루어가는 동남아에 대해서도 알아야 합니다. 필리핀에서 이미 고등학교 과정을 공부한 학생들이라면 하나의 단계를 이미 겪은 것입니다. 이제는 또 한번 경험의 스팩트럼을 넓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그들이 사회에서 활동을 하고 자신의 비지니스를 이루어가는 때가 되었을 때 어떤 경험을 가지고 있을 것인가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제는 정말 아시아의 시대입니다. 아시아의 파도를 타고 저 멀리 날아 오르는 대한민국의 청년들을 기대해 봅니다. 글이 너무 길었네요, 차근차근 여러분들과 함께 유학에 관한 이야기들을 나눠보죠~ 힘찬 한주가 되세요~관리자2019.01.17
-
싱가폴유학을 가다 시리즈 (3) 싱가폴대학유학의 장점싱가폴유학을 가다 시리즈 (3) 싱가폴대학유학의 장점 싱가폴유학을 가는데 도대체 무슨 장점이 있을까? 싱가폴유학을 왜 가는거지? 미국이나 영국에 비해서 싱가폴유학이 갖는 장점은 무엇일까? 이런 질문들을 상당히 많이 받고는 합니다. 자, 오늘은 싱가폴 사립대학교 유학의 장점에 관해서 살펴보는 시간인데요 일단 장점 첫번째 - 기간이 짧습니다. 이게 무슨 소리냐구요? 보통 미국이나 영국의 경우 대부분 대학 학위(Bachelor Degree)를 받는데 걸리는 시간은 어학연수 기간을 빼고 4년입니다. 미국유학의 경우 바로 대학을 들어가서 4년을 공부하거나 2년제 대학을 들어갔다가 4년제의 3학년으로 편입해서 2년을 더 하고 공부를 마치게 됩니다. 영국유학의 경우는 우리나라 고등학교를 졸업했을 경우 바로 대학을 못들어가고 파운데이션 과정이 1년 혹은 A레벨 준비과정이 1~2년 정도 걸리고 그 후에 대학 본과로 들어가는데 대학은 인문 자연계열은 3년(6학기)이고 공대는 4년입니다. 싱가폴유학의 경우는 영국의 시스템인 6학기제를 쓰고 있는데요(영국에서 학위를 수여하니까 당연하죠 ^^) 파운데이션을 거쳐야하는 영국과 달리 싱가폴의 경우는 대부분 12학년 졸업자를 대학의 입학 자격으로 보고 있어서 파운데이션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6학기를 하는데 영국이나 미국처럼 방학을 길게 하는게 아니고 짧게짧게 방학을 해서 결론적으로 일년에 3학기씩 이년이면 마쳐요 -0-;;; 물론 학교마다 학기 운영이 조금씩 달라서 SIM같은 경우에는 거의 4년이 걸릴 수도 있고 중간에 텀이 생겨서 2년 반이나 3년이 걸릴 수도 있는데 여하간 다른 국가들 보다는 짧아요~ 그래서 혹시나 울나라에서 예상치 못하게 시간을 좀 소비한 분들에게는 강추 입니다. 아울러 유학비용에서 생활비가 차지하는 비용이 만만치 않은데, 생활비도 많이 줄일 수 있다는 거죠~!! 두번째 장점 - 학비가 저렴합니다.(Feat 생활비도 비싸진 않아요) 싱가폴 사립대학교들은 지난 시리즈에 말씀드렸다시피 대부분 싱가폴 자체 교육기관에서 파트너 대학과 제휴를 해서 공부를 하고 학위를 수여하고 있습니다. (못 읽으신 분들은 하단에 링크를 클릭해보세요) 그래서 싱가폴유학 경비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서 많이 저렴합니다. 보통 미국 대학교의 일년 학비는 주립대학이 2000 ~ 3000만원 정도 수준이며 사립대학의 경우 3000 ~ 5000만원 수준입니다. 영국의 경우 주립대학교의 경우 일년에 대략 2000 ~ 2500만원 정도이며 사립대학교는 물론 많이 비쌉니다. 캐나다나 호주의 경우도 주립대학의 경우는 대부분 일년에 2500만원 이상 하기 때문에 총 유학기간 동안의 학비는 일억을 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싱가폴사립대학에서 유학을 할 경우 학비는 입학부터 졸업까지가 2500 ~ 5000만원 수준입니다. 보통의 사립대학의 경우 대략 3300만원 안팎입니다. 물론 생활비도 다른 국가에 비해서 저렴하긴 한데 이건 생활하는 수준에 따라 다른 것이므로 다음 기회에 이야기 해보도록 하죠 세번째 장점은 - 입학이 쉽다 보통 미국의 대학들의 경우 GPA(내신성적)과 SAT성적을 요구하며 영국, 호주의 경우 파운데이션 성적이나 A레벨 성적을 요구합니다. 싱가폴 사립대학은 입학에 대한 기준이 그리 까다롭지 않습니다. 물론 학교의 수준에 따라서 조금씩 달라지기는 하지만 일단 입학은 쉽습니다. 하지만 다른 선진국가들이 그렇듯이 졸업은 쉽지는 않습니다 ^^ 입학의 시기도 적게는 일년에 3회 많게는 일년에 6회까지 있기 때문에 학생이 자신의 스케줄이 맞추어서 지원이 가능합니다. 네번째 장점은 - 높은 취업률 싱가폴의 사립대학교들은 아주 실용적인 학문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습니다. 그래서 졸업 후의 취업에 관해서도 상당히 신경을 많이 쓰고 있습니다. 실제 대부분 주요 싱가폴 사립대학교들의 취업률은 85%이상이며 실제 졸업 후에 그 국가에서 취업이 용이한 나라는 싱가폴이 유일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싱가폴 사립대학교로 유학을 갔을 때에 장점들을 살펴 보았는데요 혹시나 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나 연락을 부탁드리고요 다른 시리즈들도 한번 꼼꼼히 읽어보세요 ^^관리자2019.01.17
-
싱가폴유학을 가다 시리즈 (2) - 싱가폴대학 유학 어떤 구조인가?싱가폴유학을 가다 시리즈 (2) - 싱가폴대학 유학 어떤 구조인가? 안녕하세요 오늘은 싱가폴유학을 가다 두번째 시리즈로 싱가폴 사립대학의 구조에 관해서 좀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일단 싱가폴 사립대학의 구조에 관해서 설명을 드리기 전에 먼저 싱가폴 국립대학교와 사립대학교에 관해서 설명을 드려야 하겠죠. 먼저 싱가폴에는 국공립대학교가 4개 있습니다. 인구 540만 정도의 규모가 그렇게 작은 숫자의 국공립대학교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좀 드물죠. 더군다나 그 4개의 대학교 중에서 종합대학은 한군데고 나머지는 특화된 대학교들 입니다. 인구가 400만 정도의 뉴질랜드가 종합대학교가 8개인 것에 비해서도 작죠. 4개의 국공립대학교는 싱가폴국립대학교, 싱가폴경영대학교, 난양대학교(공대위주) SUTD(디자인과 공과대학) 이렇게 인데요. 싱가폴국립대학교는 세계적인 명성을 가진 대학교이고 나머지는 약간 단과 성향이라서 보통 전세계 대학 랭킹을 집계할 때는 잘 포함이 되지를 않습니다. 물론 입학은 상당히 어렵고요. 높은 내신과 SAT점수 등이 있어야 합니다. 두줄로 요약해보자면 1. 싱가폴 국공립대학교는 4개 뿐(편입생만 받는 SAIT는 별도로 취급) 2. 입학이 많이 많이 어렵다 - 내신, 토플, SAT 요구 이제 싱가폴 사립대학교에 대해서 좀 알아보겠는데요. 싱가폴사립대학교는 싱가폴유학을 생각하시는 분들이 대부분 위의 이유로 국립대학보다는 사립대학교를 찾고 있습니다. 싱가폴사립대학은 구조상 싱가폴 사립교육대학교가 영국이나 호주 미국 등의 외국 대학들과 파트너쉽을 맺어서 싱가폴대학에서 공부를 하고 외국대학의 졸업장을 취득하는 형태입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싱가폴 사립대학으로의 유학을 생각하시면서 "외국분교"냐고 물으시는데 엄밀한 의미에서 이야기 하자면 분교는 아닙니다. 예를 들어 싱가폴카플란 이라는 교육기관 안에는 런던대학교-로얄할로웨이도 있고 아일랜드 국립대학교도 있고 호주의 머독대학교의 학위를 수여하는 과정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분교라는 이름을 쓰기는 좀 어색합니다. 다만 제임스쿡 대학의 경우는 아예 제임스쿡대학이 따로 학교를 설립했기 때문에 분교라는 말이 어색하지 않습니다... 그 외의 싱가폴 사립대학교들은 그냥 파트너쉽을 맺고 교육과정은 싱가폴에서 진행 하되 평가와 졸업장 수여는 본교에서 하게 됩니다. 그래서 학교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기는 하지만 싱가폴유학 후에 받는 졸업장은 대부분의 학교가 본교와 동일하게 나오게 됩니다. 다시 세줄 요약을 드리자면 1. 싱가폴교육기관이 외국대학(주로 영국/호주 등)과 파트너쉽을 맺고 학위를 수여 2. 분교는 아니지만 동일한 졸업장 수여, 평가는 본교에서 함 3. 싱가폴 사립대학은 규모가 작은 경우가 대부분 네, 이제 싱가폴 사립대학의 구조가 조금 이해가 되시나요? 암튼 이런 싱가폴 사립대학은 유학생을 받으려면 Edu-Trust라는 정부 감사를 통과해야 하며 이 감사의 결과에 따라서 외국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까지 Edu-Trust를 받은 학교는 40개 정도 되며 1년짜리 단기 Edu-Trust를 받은 학교가 150개 정도 됩니다.(숫자는 상시 변동) 그래서 저희는 싱가폴유학을 상담할 경우 4년짜리 정규 Edu-trust를 받은 학교로 보내고 있습니다. 넵 이제 다음시간에는 싱가폴유학을 가다 세번째 이야기로 싱가폴유학의 장점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리자2019.01.17